삶에 대한 이해


유좌지기(宥坐之器)

컨텐츠 정보

본문

유좌지기(宥座之器)
 
宥(용서할 유), 坐(앉을 좌), 之(어조사 지), 器(그릇 기).
 
기기(敧器)는 유좌(宥坐)의 기(器)라고도 한다.
속이 비면 기울어지고 물이 반쯤 담으면 똑바로 서며 가득 담으면 넘어져서 쏟아지는 그릇이다.
그러므로 옛날에는 군자의 옆에 두어 모자라지도 지나치지도 않게 마음을 단속하는 상징으로 삼았다.
 
공자가어(孔子家語)에 이르기를 
"유좌(宥佐)의 기(氣)가 허(虛)하면 기울어지고 넣으면 바르고 가득차면 엎어진다.
 
훌륭한 임금은 이로서 지성(至誡)를 삼으니
그러므로 항상 이것을 왼쪽에 둔다"고 했다.
 
공자는 늘 곁에 두고 보는 유좌지기(宥坐之器)란 그릇을
마음속에 항상 지니고 다니고 있었는데,
 
 
 
그것은 공자가 일찍이 평소에 존경하던 주나라 환공의 사당에 갔을 때
사당 안에 있던 의기(儀器)를 발견했던 데서 비롯되었다.
 
“이것은 무엇을 하는 그릇입니까.” 공자가 묻자 사당지기가 대답하였다.
“늘 곁에 두고 보는 유좌지기입니다.”
이 말을 들은 공자는 고개를 끄덕이며 말을 하였다.
 
‘나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유좌지기는 속이 비면 기울어지고 가득 채우면 엎질러진다고 했지요.
오직 적당히 차야만 바로 서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로부터 공자의 마음속에는 평형을 유지하는 유좌지기가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다.
가득 차면 엎질러지고 비면 기울어짐으로써
항상 중용을 유지해야만 바로 서는 마음의 그릇을 통해
공자는 지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은 중용을 도의 극치로 삼고 가르치고 있었다.
 
 
----------------------------------------------------
 
 
攲器以滿覆 撲滿以空全(기기이만복 박만이공전)
기기는 가득 차면 엎질러지고 박만은 비면 온전하다.
 
故君子寧居無 (고군자영거무)
그러므로 군자는 차라리 무(無)에 살지언정 유(有)에 살지 않는다.

不居有寧處缺 不處完 (거유영처결 불처완)
이지러진 곳에 처할 지언정 완전한 곳에 있지 않는다.
 
1) 기기(敧器)/ 옛날 명군이 자리의 오른 쪽에 두어 경계(警戒)로 삼은 그릇.
속이 비었을 때 기울어지고 물을 반쯤 채우면 바로서고,
가득 채우면 엎어지게 만들었다.
 
2) 박만(撲滿)/ 흙으로 빚은 저금통.
윗 면에 돈을 넣는 구멍이 있는데 가득차게 되면 통이 깨지게 된다.
그러므로 통은 비어 있을 때 온전하게 된다. (채근담63)
 
 
 
 

 

 

 

 

의식상승힐링샵 바로가기

 


 

 

관련자료

댓글 2

의식상승님의 댓글

부족하면 달리고 차면 바르되 넘치면 망하게 됩니다.
지상을 거니는 인류가 이와도 같이 넘쳐서 망하는 것을 수도 없이 바왔습니다.
오늘날 세상을 이끄는 리더라고 하는 이들도 보면
한순간의 교만함으로 인해 안위에 경각에 달렸습니다.
전체 231 / 4 페이지
RSS
번호
제목
이름

최근글


새댓글